[et_pb_section fb_built=”1″ _builder_version=”4.21.0″ hover_enabled=”0″ global_colors_info=”{}” theme_builder_area=”post_content” sticky_enabled=”0″][et_pb_row _builder_version=”4.16″ background_size=”initial” background_position=”top_left” background_repeat=”repeat” global_colors_info=”{}” theme_builder_area=”post_content”][et_pb_column type=”4_4″ _builder_version=”4.16″ custom_padding=”|||” global_colors_info=”{}” custom_padding__hover=”|||” theme_builder_area=”post_content”][et_pb_text _builder_version=”4.16″ background_size=”initial” background_position=”top_left” background_repeat=”repeat” global_colors_info=”{}” theme_builder_area=”post_content”]
지난 2022년 9월 1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저출산*고령화 위기 극복을 위한 보편적 결혼과 가족중심 정책” 이라는 주제로 정책심포지엄이 개최되었습니다. 가정평화포럼이 주최하고 가정평화협회를 비롯해 여성, 아동 등 다양한 분야의 시민단체 및 전문가 패널이 참여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그간의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위한 정부 정책에 대한 분석과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구하는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아래는 심포지엄의 주요 발제 및 토론 내용입니다.
발제 1. 저출산*고령화 사회 정책의 재원 소요의 효율성과 향후 전망 발제자: 한양대학교 고령산업융합학과 이삼식 교수 내용 요약: 대한민국의 저출산대책에 관한 예산의 재원이 영아~초등학교 저학년기의 양육보육예산과 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에 압도적으로 비중이 높다. 이와 대조적으로 저출산 대책의 사각지대라고 볼수 있는 임신~분만기와 초등학교 고학년~청소년기의 예산의 투입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분석으로 보아 저출산 대책이 생애주기적 접근을 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된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재, 정년 연장과 더불어 임금체계 개편 등을통해 생산가능인구를 확대해야 한다고 보며, 외국근로자들의 이민을 통한 생간가능인구 증가 방안에 대해서는 타국가 사례와 미래 산업구조 변화를 고려하여 올바른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역시, 출산율 회복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현재까지의 정책 프레임에 대한 철저한 평가와 전면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단기간 정책으로는 효과를 거두기 어려우므로 정권이 바뀌더라도 모든 정부가 일관성 있게 투자를 지속해야 한다. 발제 2. 저출산*고령화 문제의 근본적 해결 방안, 한국의 효와 가족 문화 지정토론: 미국 캐롤라인 대학교 이근철 교수 발제 3.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결혼과 가족 중심의 정책 지정토론: 사)한국미래사회여성연합회 김은경 중앙회장 발제 4. 저출산*초고령 사회의 소득보장: 새정부의 연금개혁과 부모급여 도입에 대한 제언 |
[/et_pb_text][/et_pb_column][/et_pb_row][/et_pb_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