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의 다리

by | 7월 10, 2018 | 0 comments

“양치 했니?” 엄마가 성준이에게 물었습니다.

성준이는 별 생각없이 “응” 이라고 대답합니다.

대답을 하고나서 성준이는 멈칫 했습니다.  사실은 양치를 하지 않았던 것이지요. 하지만 “응”이라고 해야 엄마가 기뻐한다는걸 알고 있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나온 대답이었습니다.

“사실은 안했어요. 하지만 지금부터 할께요.”

엄마는 미소를 지으면서 “그래” 라고 말합닌다.

성준이는 왠지 마음이 뿌듯합니다. 엄마와 나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신뢰의 다리가 더 튼튼해졌기 때문이죠. 그리고 ‘정직하게 말하기’ 근육도 조금 더 생긴 것 같습니다.

성준이는 지난 주 핵심가치 아카데미(Core Values Academy, CVA)에서 나와 상대방의 사이에 이어져 있는 ‘신뢰의 다리’대해 배웠습니다. “양치기 소년” 이라는 동화를 읽었는데, 한 소년이 장난으로 계속 거짓말을 하다가 그만 마을 사람들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던 신뢰의 다리를 잃어버리는 내용이었습니다.

거짓말을 하면 신뢰의 다리는 약해지거나 끊어져 버리지만, 진실을 말하면 오히려 다리는 더 튼튼해집니다.

가장 중요한 신뢰의 다리는 나와 하나님 사이, 그리고 나와 부모님 사이의 다리라고 성준이는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 다리가 튼튼해야 큰 사랑이 오갈 수 있다고도 배웠지요. 늘 정직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진실은 신뢰의 다리를 강화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늘 정직하게 말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가끔씩 거짓말 하는 것이 더 쉽게 느껴질 때도 있지요. 혼나지 않을 수도 있고요.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진실과 정직함을 통해 부모와 자녀는 문제를 발견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때문에 양치질과 같은 작은 일들에도 진실의 근육을 쓰는 훈련을 해야합니다. 아이들이 그런 훈련을 하며 성장하면, 이후에 정말로 필요한 순간이 왔을 때 강인하게 훈련된 진실의 근육을 사용할 수 있게 되겠지요. 살아가며 마주하게 될 다양한 관계 속에서,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하나님과의 관계 또는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말입니다. 

 

아이와 함께 해보세요:

진실과 거짓말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아이들과 같이 신뢰의 다리를 그려 봅시다. 그 다리가 하나님이나 부모님과 어떻게 이어져있고 어떻게 사랑을 받거나 조언을 받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지 이야기 해 봅시다.

어떻게 진실의 다리를 튼튼하게 만드는지, 거짓말이 다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야기 하며 그림으로 표현해 봅니다.

진실과 거짓말 사이에서 고민하는 상황에 대한 예를 들어가며 이야기 해 봅시다. (예: 아빠 엄마 몰래 장난치다가 무언가 망가뜨렸을때, 싸움을 했을 때 등) 

About the Author

admin

가정평화협회 | Family Peace Association 홍보국 | PR&Communication

Learn more on this topic

Related Blog Posts

말로 감사를 표현하는 것의 힘

말로 감사를 표현하는 것의 힘

어느 날 아침, 깨끗한 접시와 식기를 캐비닛의 제자리로 옮기다가 각 항목에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는 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그러자 "아, 내가 이들에게 고마움을 표현하고 있다면 정말 잘 관리해야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저는 그 물건들을 아주 조심스럽게 그리고 정중하게 옮기고 내려놓는 제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그 후 남은 아침 시간 동안 집 안의 다른 물건들에게도 "감사합니다"라고 말했어요. 그러자 마음속에서 따뜻한 기운이 흐르면서 청소를 하게...

가족 토론: 나는 누구일까?

가족 토론: 나는 누구일까?

토론 1: 나는 누구일까? 질문: 당신은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있습니까? 자신이 누구인지 아는 것이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왜 중요할까요?   여기 이 구둣주걱을 한번 보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다시피 이 물건은 신발을 더 편하게 신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쓰이죠. 어떤 집에서는 이 것이 없으면 안 될 필수품 이기도 합니다. 매일 아침, 신발에 발 뒤꿈치를 넣을때 불편함을 겪는다면 이 것이 꼭 필요 할 거에요. 그런데 만약에 이 물건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이...

나의 무리를 이끌며

나의 무리를 이끌며

한 가정의 아버지인 그는 올 여름 많은 시간을 가정 밖에서 보냈습니다. 이번 해에는 한 번 해외 출장을 나가면 몇 달이 지나서야 가정으로 돌아올 수 있는 여러 큰 프로젝트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집에서 떠나고 나면, 그는 아내와 돌이 채 지나지 않는 아들이 보고 싶어졌습니다. 그는 아이가 자신의 팔에 안겼을때의 느낌, 매일 저녁 집으로 돌아올 때 아이가 이빨 빠진 미소로 반겨주는 모습, 또 아들이 침을 흘리던 모습마저 그리웠습니다. 그는 아내의 목소리와 미소가...